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긍정적 행동지원과 전통적 행동수정 기법 비교

by ┌ΘΔΣ┘ 2021. 11. 12.

긍정적 행동지원과 전통적 행동수정 기법 비교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은 학생 스스로의 학업성취 방해는 물론 전체 학생의 교수학급을 방해는 물론 또래와 상호작용 역시 방해한다. 이런 문제행동의 중재방법은 과거에 많이 사용된 전통적인 행동수정기법과 최근 각광받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있다. 각각의 중재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통적 행동수정기법은 몇 가지 한계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첫째, 단기적 중애에 초점을 두어 표과가 빨리 보이는 것 같으나 중재에 대한 지속성이 낮은 편이다. 행동에 대한 일반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계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둘째, 문제행동의 기능을 고려하지 않은 중재로 행동이 일어난 사후 처치에 그친다. 이는 문제행동을 수정하고 검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없다. 셋째, 사용하는 사람(중재제공자)에게 윤리적 문제를 일으킨다. 혐오자극의 제시와 같은 방법의 사용은 대상자를 존중하지 않은 방법으로 중재 제공자의 편의에 의해 오남용될 위험을 갖는다. 

1. 제한된 장기효과 및 성과 
2. 비능적인 중재
3. 도덕적, 윤리적 문제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장한 긍정적 행동 지원은 최근에 널리 사용하는 방법으로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적 지원 모델이다. 개별 학생의 특성과 문제행동의 기능을 고려한 중재로 개별적인 중재를 제공한다. 둘째, 정상화된 접근 모델이다. 자연적 상황에서 자연적 방법으로 중재가 제공되므로 다른 사람들과 같은 방법, 보편적인 중재가 제공된다. 셋째, 생태학적 중재 모델이다. 문제행동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행동의 기능과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환경에 대한 중재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개인을 준중하는 접근 모델이다. 학생 중심의 중재로 혐오적 처치를 사용하지 않는 개인을 존중하는 중재를 제공한다. 

개인을 존중하는 접근
정상화된 접근
예방적 접근 

 

긍정적 행동지원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행동을 확인하고 정의한다. 둘째, 기능평가를 통해 문제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면담, 관찰, 기능분석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셋째, 가설을 설정한다. 넷째, 중재계획을 세운다. 중재계획에는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교수, 후속결과중심 중재 등이 있다. 다섯째, 세운 계획에 따라 계획을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중재에 대한 평가를 한다. 

1. 문제행동의 정의 및 우선 순위화
2. 기능진단 실행
3. 가설 
4. 행동 지원 계획 수립
5. 실행, 평가, 수정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평가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특수교사의 중요한 역할로 긍정적 행동지원은 그 효과가 입증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중재방법으로 이를 활용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여야 한다.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