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 영역 기출문제 정리 (2020~2022)
1. 지적장애 [인간 기능성의 개념적 틀]

2. 지적장애 증후군
◦(가)의 밑줄 친 ㉠을 참조하여 학생 C의 증후군 명칭을 쓸 것. (2022 중등기출)
◦㉠장애의 원인은 21번째 상염색체가 3개인 염색체 이상으로 생의학적․출생 전 원인에 해당함.
◦㉡장애 특성상 갑상선 질병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받고 있음.
2020 중등 기출 중
3. 장애의 예방 목적 (1차, 2차, 3차)
1차예방: 특정 문제의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유전검사 실시
2차예방: 특정 문제를 나타낼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까지 증세를 나타내지 않은 아동을 위한 서비스-PKU 아동을 위한 식이요법
3차예방: 문제 발생 후 주어지는 서비스로 이미 발생한 장애가 더 악화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장애의 보상을 위한 훈련을 제공하는 등의 특수교육 제공
4. 개별화된 지원평가 과정
5. 지적장애 검사도구
. 다음은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협회[American Association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AAIDD), 2010]에서 제시한 개별화된 지원 평가, 계획 및 감독을 위한 과정이다. ㉠ 을 위한 방법을 쓰고, ㉡ 에 해당하는 개인의 지원 요구 및 의료적, 행동적 지원 요구를 판별하기 위한 표준화 검사도구의 명칭을쓰시오. [2점]
(가)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실시한 학생 H의 한국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4판(K-WISC-Ⅳ) 결과의 일부이고, (나)는 김 교사와 이 교사가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2020 중등 기출)
6. 지적장애 지원모델
. (가)는 일반교사가 특수교육 연수를 받으며 기록한 내용의 일부 이고, (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괄호 안의 ㉠ , ㉡ 에 해당하는 용어를 순서대로 쓰시오. [2점] (2020 중등기출)
(나) 대화
일반교사 : 선생님, 어제 특수교육 연수를 받고 왔는데, 우리 반 장애학생 C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지원 모델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특수교사 : 네, 장애를 이해하는 데 예전에는 장애학생의 결함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요즘에는 지원을 강조하고 있어요. 그래서 개인의 능력과 환경적 요구의 ( ㉠ )(으)로 인해 지원 요구가 생긴다고 보고 있고요. (중략)
특수교사 : 미국 중도장애인협회에서도 개인의 결함보다는 통합 환경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생활 영역에서의
지원을 강조해요. 생활 영역 중에서 ( ㉡ )은/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 역량의 하나인 ( ㉡ ) 역량과도 일맥
상통하는 것 같아요.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갈 수 있는 것이지요.
7.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정 한국 점자 규정 정리 (0) | 2021.12.08 |
---|---|
시각장애 영역 기출 문제 정리(2020~2022) (0) | 2021.12.08 |
행동 감소 전략 - 차별강화와 소거 (0) | 2021.11.30 |
문제행동의 기능평가 (FBA) - feat 긍정적행동지원 (0) | 2021.11.29 |
응용행동분석 , 행동중재기법 정리 (0) | 2021.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