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장애인식개선 교육 : 표준교육자료, 예술공연, 동영상자료
해당 포스팅에서는 2022년 장애인식개선교육 안내 지침 및 교육자료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장애인식개선교육 2022년 변경된 사항
1) 실적입력 가능한 시기 : 2022년 9월 1일부터 실적 입력 가능
참고로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적 입력 기한은 다음해인 2023년 2월 28일까지 입니다.
2) 교육방법 권장
작년의 경우 감영 예방을 위한 비대면 교육을 권장하였으나 2022년 올해의 경우 감염예방을 위하, 안전한 대면 방식인 줌(ZOOM)으로의 교육 권장 항목으로 변경되었으며, 단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상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대면교육을 표함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로 최소 1회 이상 강사를 활용한 교육 권장하며 직접 대면 교육 시, 적정인원을 분배하여 실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실적 점검 및 후속조치
2021년의 경우 부진기관 선정, 관리자 특별교육, 언론 등 공표 조항이 신설되어 시행되었다면, 2022년은 실시 일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2023년 6월 부진기관 선정, 2023년 7월~8월 관리자 특별교육 실시, 2023년 9월 언론 등 공표입니다.
4) 장애인식개선 시스템 안내
장애인식개선교육 정보시스템으로 1)장애인식개선교육 실적관리시스템과 2)장애인식개선 이러닝센터가 기존 존재하였던 시스템이며 새롭게 3)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기관 전용시스템이 신설되었습니다.
2. 표준교육자료
표준(정규) 교육자료는 이러닝센터에서 교육 신청 가능한 보건복지부 표준 교육자료를 의미합니다. ① 인식의 새로고침, ② 인식의 길라잡이(기본, 심화), ③ 다름과 닮음 속, 더욱 빛나는 우리, ④ 장애에 대해 잘 아는 우리가 있습니다.
장애인식개선 이러닝센터 홈페이지에서는 회원가입 후 교육신청을 하고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그 외 추가로 이러닝센터에서 교육 신청이 불가능한 표준 교육자료로 유아 대상 콘텐츠 ‘상상음악대’(한국장애인개별원 누리집)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3. 장애인식개선 공연 교육 기관
다양한 공연 등을 통한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진행하는 기관입니다.
기관명 | 주요활동지역 | 주 교육대상 | 교육유형 | 연락처 |
밀알복지재단 | 서울, 경기 | 성인, 학생, 유아 | 앙상블 음악연주/ 미술체험 | 070-8708-9670 |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회 | 서울, 경기, 인천 | 성인, 학생, 유아 | 국악/ 퓨전(토크 콘서트) | 02-880-0500 |
인천장애인정보화협회 | 전국 | 성인, 학생 | 팝밴드공연 및 교육 | 032-887-8500 |
희망을노래하는 사람들 | 전라, 충남 | 성인, 학생, 유아 | 퓨전난타 및 팝밴드 공연 등 | 063-536-9313 |
한국발달장애인문화예술협회 아트위킨 | 전국 | 학생 | 클래식, 팝밴드공연 및 전문강사교육(장애인당사자 교육 포함) | 02-717-4336 |
주식회사 한국파릇하우스 | 대구, 경상 | 학생, 유아 | 동화무용극(소리동화책), 뮤지컬(보드게임) | 053-632-1107 |
4. 장애인의 날 특별 기획 프로그램 (장애인식개선교육 동영상 자료)
다음은 2022년 장애인의 날 특별 기획 프로그램입니다.
구분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고등학교 |
제목 (유형) |
“모두의 놀이터” (애니메이션) |
“대한민국 1교시” | “너만의 거리에서, 우리는” (드라마) |
주제 | 무장애 놀이터 | 소통 | 진로 |
기획 | 교육부, 삼성화재,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
교육부, KBS한국방송,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
교육부, 삼성화재,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
영상물분량 | 7분 57초 | 30분 | 63분 |
내용 | 통합유치원을 배경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훈이, 인공와우를 착용한 담이,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영희와 친구들이 함께 놀 수 있는 놀이터를 상상하며 만들어가는 이야기 | 서로 다른 개성과 표현방식 그리고 소통의 방법 속에서 진정한 소통의 의미를 찾아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도모 | 승모(발달장애)와 여라의 진로 고민을 통해, 장애‧비장애 구분없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고민이라는 내용을 담아냄으로써 장애인식개선에 기여 |
대상 | 유아 및 유치원(어린이집) 교원 ※ 초등학교 1~2학년 활용 가능 |
초등학생 및 교원 | 중·고등학생 및 교원 |
해당 자료를 볼 수 있는 곳
국립특수교육원 (www.nise.go.kr),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www.wefirst.or.kr), 유튜브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채널) 세티넷 (www.setea.net)
[장애인식개선교육 외] - 장애인 차별금지, 정당한 편의제공 관련 법 및 세부 내용
[장애이해교육] -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 한번에 끝내기(고용노동부+보건복지부)-직무연수
[장애이해교육] - 장애인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교육자료
[장애이해교육] -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실시방법 feat 고용노동부
[장애이해교육] - 장애인식개선교육 무료 강사 신청 하는 법 feat 보건복지부
[장애인식개선교육 외] - 2021년 장애인 학대 신고 의무자 교육 관련 QnA
'장애인식개선교육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희롱·성폭력 사안 발생시 신고의무+여성가족부 통보 (0) | 2022.11.09 |
---|---|
장애인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관련 (22년 개정사항 및 교육자료 포함) (0) | 2022.09.06 |
장애인 차별금지, 정당한 편의제공 관련 법 및 세부 내용 (0) | 2022.04.05 |
2021년 장애인 학대 신고 의무자 교육 관련 QnA (0) | 2021.12.16 |
학교에서 해야 하는 장애이해교육 총정리 (0) | 2021.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