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수화, 이중언어 이중문화 접근법

by ┌ΘΔΣ┘ 2021. 10. 24.

수화, 이중언어 이중문화 접근법

 

- 공간적 배열

- 사상성과 규약성

- 동시성 : 조어가 제약받기도 함.

- 가역성 : 음성언어에는 없는 수화만의 특징.

- 반복성 : 음성 언어에도 있음. 의성, 의태어, 강조 등에 쓰임.

수화에서는 수형이 같은 동사와 명사를 구분할 때 쓰임.

* 수화는 '사상성''규약성'으로 이루어져있음.

* 구체적 사물은 '사상성'이 높고 (ex. , ) 추상적 개념은 '규약성'이 많음.

* 그러나 수화가 점차 발달함에 따라 '규약성 > 사상성'

 

수화 기호 구성 방법

   
지사  단어의 성질 또는 상태를 연상하게 하거나, 상징하는 방향 가리킴 ex)
상형  단어가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나 변별자질을 손으로 표현하는 것
ex)
모방  단어가 의미하는 동작을 따라함
ex) 꼬집다
회의  둘 이상의 형태소를 합쳐 다른 의미의 단어를 새로 만듬
ex) 붙다 + 발표의 기호를 함께 써서 간판을 만듬
전주  기존 의미가 전이되어 다른 의미의 기호로 사용됨
ex) 흙이 토요일로도 쓰임
형지  대상의 형체를 만들고 그것을 가리킴
형동  대상의 형체나 일부를 만들고 그 대상이 하는 동작을 해보임

 

수화(수어)의 구성요소 

수화소(수화의 구성요소)는 수위, 수형, 수동, 수향, 체동, 비수지신호로 나뉜다.

   
수위 수화 어휘를 구성하는 데 있어 손이 작용하는 위치를 말한다.
수형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어떤 형상이나 상징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형상을 구성해 보이는 것과 상징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 있다.
수동 손의 움직임, 즉 수형소 운동을 말한다.
수향 수화자의 신체에 대한 손바닥의 방향과 펼쳐진 손가락 끝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체동 수화의 기호 중에 수위, 수형, 수동, 수향의 조합만으로는 낱말이 의미하는 뜻을 전할 수 없어 손이나 손가락 이외의 다른 신체부위의 동작까지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수지기호 손동작 이외의 비수지신호인 얼굴표정, 고개와 머리의 움직임, 입술의 움직임, 눈썹과 눈의 움직임, 어깨와 몸의 움직임 등이 수화와 함께 때로는 단독으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거을 의미한다.

 

수화의 비수지 기호 

비수지신호는 음성언어에서의 억양, 강세, 리듬과 같은 역할을 하며 정서적인 정보의 구체적인 표현을 하기도 한다. 또한 부사의 기능을 하며 공손의 표현을 하기도 한다.

비수지기호의 역할은 (1) 감정표현(reflections of emotional states) (2) 대화 규제(conversation regulators) (3) 어휘 구성요소 (lexical markers) (4) 수식어(modifiers such as adverbs) (5) 구성된 행동 (constructed action) (6) 기능어(문법표지 grammatical markers) 이 있다. 

  1. 의문문 : 눈썹이 올라가고, 눈을 크게 뜨고 상대방에게 시선을 맞춘다.

  2. 조건문 : 시선을 아래로 하고, 눈썹이 올라가고, 턱을 당기며 고개를 끄덕하는 것.

  3. 부정문 : 머리를 가로 흔든다. 

 

자연수화 vs. 문법 수화

  자연수화 문법수화
  독자적 문법을 가지고 있으므로
국어 미습득자도 이해하기 쉬움
국어의 문법과 일치하므로
국어 미습득자는 이해하기 어려움
  어순이 도치되며
조사 등의 기능어가 거의 생략됨
조사 등 기능어가 있음
  조기에 배우면 읽기, 쓰기 능력이 우수함 문법 수화의 체계가 국어와 같아서
읽기 및 쓰기를 배우는 것이 용이함
  지문자를 적게 사용함 지문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함
  구어 병용을 전제하지 않음
(구어와 순서가 달라 동시에 하기 어렵고
비장애인과 의사소통 어려움)
구어 병용을 전제함
(비장애인과의 의사소통 유리함)

 

<수화 관련 기출>

 

 

종합적 의사소통방법(총체적 의사소통방법)

동시법이라고도 함.

독화, 말하기, 듣기, 수화, 지문자를 모두 함께 사용함.

단점으로는 학습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음, 교사의 부족

 

이중언어-이중 문화적 접근법 (2Bi)

청각장애 학생들이 청각장애인의 언어와 일반언어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문화와 일반인들의 문화를 모두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

수화는 1차 언어로 하고, 국어는 외국어와 같이 2차 언어로 가르침.

농아동에게 자연수화를 가급적 일찍 접하게 할 것을 주장하지만, 건청사회로의 통합을 위해 국어의 수용에도 긍정적인 입장

 

 

 

 

 

 

 

 

[특수교육] - 수화통역자 활용시 유의할 점

반응형

댓글